
Svelte Component 라이브러리 - 4일차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TailwindCSS 와 daisyUI 를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TailwindCSS 와 daisyUI 를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TailwindCSS 와 Flowbite 를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TailwindCSS 와 Flowbite 를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Jekyll 기반 깃허브 블로그의 검색기능을 Algolia 로 바꾸는 작업을 했습니다. plugin 을 이용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Bun + SvelteKit + Supabase 조합에 Auth.js 를 이용한 Discord 소셜 로그인을 공부합니다. pg 에 테이블을 생성하고 Drizzle 어댑터를 연결합니다.
Turso 는 SQLite 의 오픈소스 포크인 `libSQL` 를 기반으로 만든 Edge(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DBasS)로 매우 빠르고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Drizzle ORM 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Puppeteer 는 웹자동화, 스크래핑 목적으로 사용되는 Chrome 헤드리스 브라우저 기반의 Node.js 라이브러리입니다. Bun 에서도 작동된다고 해서 사용해보려 합니다.
Bun 런타임 기반의 Elysia.js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Auth API 구현을 따라합니다.
웹서버의 기본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초기 버전의 bun express 코드를 살펴보며 공부한다. `Bun.serve` 를 중심으로 Server, Request, Response 등에 대해서 살펴보자.
Node 의 여러 문제점 때문에 Vite 로 웹서비스를 실행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Vite 는 실서비스를 사용을 권장하지 않기 때문에 또다른 대안으로 Bun 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최근 1.0 을 릴리즈한 Bun 으로 빌드하고 도커로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