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elte Component 라이브러리 - 8일차
bits-ui 는 melt-ui 를 기반으로 작성된 headless UI 이다. 이를 다시 tailwind 변수들과 스타일 속성을 결합한 shadch-svelte 라이브러리를 살펴본다. 이와 함께 웹사이트 레이아웃을 추출하여 분석해본다.
bits-ui 는 melt-ui 를 기반으로 작성된 headless UI 이다. 이를 다시 tailwind 변수들과 스타일 속성을 결합한 shadch-svelte 라이브러리를 살펴본다. 이와 함께 웹사이트 레이아웃을 추출하여 분석해본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headless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인 melt-UI 를 공부합니다. 이와 함께 daisyUI 를 사용할 방법을 찾아봅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Tailwind CSS 튜토리얼들을 공부합니다. 유튜브에 좋은 강좌들이 많아서 하나씩 정복하려고 합니다. 나중에는 클론 프로젝트도 살펴봅니다.
이미지 생성형 AI 세가지를 비교한 자료를 살펴봅니다. Dall-E, SDXL 도 좋다고 하지만 MidJourney 가 현재까지 가장 인기있는 이미지 생성도구입니다.
Tailwind 를 사용에 어려움이 많아 도구의 힘을 빌리려고 합니다. Tailwind 의 Page Builer 도구로 유명한 Shuffle 등을 공부합니다.
Tailwind 를 사용에 어려움이 많아 도구의 힘을 빌리려고 합니다. Tailwind 관련한 Plugin 과 Tailscan 등의 도구들을 공부합니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Open Props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
prismic.io 헤드레스 CMS 를 소개하는 Youtube 동영상이 있어서 따라해 보았습니다. slice machine 이라는 프리뷰 도구가 페이지 개발을 돕는 특징이 있습니다. (UI를 배치하며 꾸미는 WYSIWYG 방식은 아님)
흔히 찾을 수 있는 react 기반 프로젝트들을 svelte 로 바꿔서 작성하는 연습을 합니다. 클론 코딩을 통해 svelte 개발 능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원하는 UI 구성을 위해 유틸리티 CSS 라이브러리인 TailwindCSS 와 Skeleton 를 공부합니다. 웹프레임워크로 SveltKit 을 사용하고 bun 런타임 위에서 실행합니다.